특허법 강의 - [1] 국제출원의 장점 및 단점
- 특허의 정석 / 14. 특허협력조약
- 2021. 6. 6.
※본 포스팅은 특허법에 대해 공부하시는 분들, 변리사 수험생, 지식재산능력시험(IPAT)을 준비하시는 분들을 위한 것입니다. 수험적으로 이용하시는 것은 무료입니다.
※내용 중 판례는 가능한 원문을 링크하고자 했습니다. 다만, 미간행 판례나 심판사건의 경우에는 링크가 없을 수 있습니다.
※본 포스팅은 2021.06.06.을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새로운 판례가 나오거나 내용이 업데이트 되면 내용이 수정될 수 있습니다.
※본 포스팅의 내용이나 특허에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면 댓글로 질문을 남겨주시면 확인하는대로 답변을 드리겠습니다.
※본 포스팅의 내용 중에 잘못된 것이나 새로운 판례, 개정법 등의 사항이 반영되지 않은 것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추가 또는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1. 의의 및 취지
국제출원이란 출원인의 노력 및 비용의 절감과 각국 특허청의 심사부담을 줄이기 위해 채택한 특허협력조약(PCT)에 따른 국제적인 방식통일에 의한 출원을 의미한다.
2. 장점
(1) 출원인
출원인이 국제출원을 이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장점에는 다수국에 출원시 상대적으로 절차가 간편하고, 국제단계에서의 보정이 가능하며, 국제조사 및 국제 예비심사를 통한 등록가능성의 예측이 가능하고, 각 지정국에 대한 국내단계진입시점 이전에 각국에서의 개별적인 진입여부의 타진이 가능하다는 점 등이 있다.
(2) 특허청
특허청 입장에서는 수리관청에서의 별도의 방식심사 진행으로 인해 자체의 방식심사가 완화되고, 국제조사 및 국제예비심사로 인해 특허성에 대한 심사부담이 경감되는 장점이 있다.
(3) 제3자
제3자 입장에서는 국제공개된 문헌을 기술문헌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국제공개로 인한 중복 투자 및 중복연구의 방지 등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3. 단점
출원인이 국제출원을 이용함으로써 감수하여야 하는 단점에는 PCT관련 절차가 조약우선권주장출원에 비해 상대적으로 복잡하며, 비용적으로 부담이 될 수 있으며, 특허권의 등록까지 장기간이 소요되며, 이에 따라 존속기간이 실질적으로 단축될 수 있다는 점이 있다.
'특허의 정석 > 14. 특허협력조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특허법 강의 - [6] 국내단계의 여타 특례규정 (0) | 2021.06.06 |
---|---|
특허법 강의 - [5] 자기지정 (2) | 2021.06.06 |
특허법 강의 - [4] 국내단계 및 기준일(제199조 이하) (0) | 2021.06.06 |
특허법 강의 - [3] 국제조사 및 국제예비심사(제198조의 2) (0) | 2021.06.06 |
특허법 강의 - [2] 국제단계 및 국제출원일 인정(제192조 내지 제198조) (0) | 2021.06.06 |